차입공매도와 무차입공매도

차입공매도 무차입공매도

공매도란 주식이나 채권등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① 하락장이 예상될 때 주식을 빌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매도하고 ② 실제 주가가 내려가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서 다시 산 후에 ③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얻는 방식입니다. 공매도에도 순기능이 있다고는 하나, 개미투자자 사이에서는 악의 축으로 생각될만큼 악명높은 투자기법 중 하나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차입공매도만 허용되어 있고, …

채권의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

채권의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

채권의 준점유자란 채권자는 아니지만 채권을 사실상 행사하는 자로서, 거래관념상 진정한 채권자라고 믿게 할 만한 외관을 갖춘 자를 말합니다. 그러한 외관을 갖추고 있으면 되는 것이고 반드시 채권증서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채권의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가 유효하려면 변제자가 선의·무과실이어야 합니다. 즉 변제자가 채권의 준점유자에게 수령권한이 있다고 믿어야 하고, 또 그렇게 믿는 데에 과실이 없어야 합니다. 변제자의 …

허수주문이란?

허수주문

허수주문이란 증권 등의 시세가 성황을 이루고 있는 듯이 보이게 하거나 일반 투자자로 하여금 그릇된 판단을 유도할 목적으로 진정한 매매의사 없이 매매체결 가능성이 희박한 호가를 대량으로 제시하는 주문을 말합니다. 허수주문의 가장 일반적인 행태는 주식을 보유한 상황에서 대량의 허수매수주문으로 일반인의 매수세를 유인하여 주식을 고가에 매도한 후 허수매수주문을 취소하거나 그 반대로 대량의 허수 매도주문을 내어 일반인의 매도세를 유인한 …

총액인수 (Firm Commitment Underwriting)

총액인수

총액인수란 인수기관이 매출할 목적으로 공모주식 전액을 자기명의로 인수(매입)함으로써 이에 따른 발행위험을 부담하고 발행사무도 담당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총액인수 외에 공모주식의 미청약분을 인수기관이 인수하는 잔액인수, 모집주선 등이 있습니다. 총액인수는 인수기관이 증권을 자기계산으로 취득하여 이를 매각하는 것이므로 인수기관의 인수위험은 높으나 발행인의 미발행 위험은 없습니다.

가장매매 (Wash Sales)

가장매매

가장매매란 외관상으로는 증권 등의 매매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실질에 있어서는 권리이전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매매를 말합니다. 동일인이 동일 종목에 대해 매수와 매도주문을 같은 시기에 하는 행위가 대표적인 가장매매의 형태입니다. 자본시장법은 동일한 계산주체에 의한 매매거래와 같이 현실의 수요에 근거하지 않는 거래 그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가장매매를 반복함으로써 현실수요를 반영하지 않는 거래량 및 가격변동을 초래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