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연금이란? 수급·소멸·정지 요건과 지급비율 계산방법

유족연금이란 수급 소멸 정지 요건

유족연금이란 국민연금에 일정한 가입기간이 있는 사람 또는 노령연금이나 장애등급 2급 이상의 장애연금을 받던 사람이 사망하면 그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던 유족에게 가입기간에 따라 일정률의 기본연금액에 부양가족연금액을 합한 금액을 지급하는 연금제도입니다. 수급요건 아래와 같은 일정한 연금보험료 납입요건을 채운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사망한 경우 그 유족이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 수급권자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가입자 또는 …

퇴직연금제도(Retirement Pension)의 종류

퇴직연금제도 종류

퇴직연금제도란 회사로 하여금 퇴직금 지급을 위한 재원을 외부 금융회사에 적립하도록 하고 근로자가 퇴직시 금융회사가 연금 또는 일시금을 지급하는 제도로써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의해 2005년 12월에 도입되었습니다. 퇴직연금제도에는 회사가 적립금 운용을 책임지고 근로자가 받을 퇴직금이 사전에 확정되어 있는 확정급여형제도(DB형 : Defined Benefit), 근로자 개인이 적립금 운용을 책임지고 운용성과에 따라 퇴직금이 변동되는 확정기여형제도(DC형 : Defined Contribution), 10인 미만 소규모 …

국민연금 소멸시효 확대, 5년에서 10년으로…

국민연금 소멸시효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수급권 소멸시효가 확대됩니다. 기존 5년에서 2018년 1월 25일부터 10년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국민연금 반환일시금이란? 국민연금 반환일시금이란 노령연금을 받기 위한 최소 가입기간인 10년을 채우지 못했을 경우에 그동안 납입한 보험료에 이자를 더해 돌려받는 금액인데요. 그동안은 5년간 반환일시금을 신청하지 않으면 소멸되어버렸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소멸되는 금액이 결코 적지 않았습니다. 최근 5년간(2013년~2017년) 국민연금 소멸시효로 인해 반환일시금을 돌려받지 못한 가입자가 …

조기노령연금 대신 국민연금 재가입 가능

조기노령연금 국민연금 재가입

조기노령연금 수급자가 2017년 9월 22일부터 월평균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연금 대신 국민연금에 다시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은퇴 후 생활고를 겪는 사람의 노후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취지로 도입되었지만, 앞당겨 받는 대신 상당한 손해를 피할 수 없는 조기노령연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취지로 보입니다. 조기노령연금이란? 조기노령연금은 노령연금 수급권을 확보한 사람이 정해진 수급연령보다 1∼5년 먼저 받는 연금으로, 은퇴 후 소득이 …

실제 국민연금 수령액만으로 노후를 대비할 수 있을까?

null

우리가 받을 수 있는 실제 국민연금 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점점 정년이 짧아지고 있습니다. 아니, 정년이라는 의미가 희미해져가는 것 같습니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지금, 일찍 은퇴해서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분들이 점점 늘고 있는데요. 불안한 미래에 국민연금이 얼마나 힘이 될 수 있을까요? 감사원의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실제 소득대체율이 겨우 24%라고 합니다. 소득대체율이란 국민연금 가입자의 생애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