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영향, 우리나라도 무조건 따라갈까?

환율

얼마 전 미국의 FOMC가 0.25%의 금리인상을 단행해 미국은 기준금리가 0.75~1.00%의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미 연준은 올해중으로 약 두 차례의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했기 때문에 미국은 올해말까지 1.25~1.50%의 기준금리에 도달할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1.25%니까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언론들은 1300조가 넘는 가계부채를 걱정하고 최악의 경우에 금융기관 부채가 있는 우리나라의 10가구 …

장하준의 ‘사다리 걷어차기’ – 역사는 되풀이 된다

장하준 사다리 걷어차기

장하준 교수의 ‘사다리 걷어차기’를 읽었습니다. 사실 읽었다라고 말하기에는 책에게 조금 미안한 마음이 드는데요. ^^; 책의 내용이 조금 딱딱하게 써졌다고나 할까요? 저에게는 그다지 쉽게 읽히지는 않는 책이었습니다. 과거에 읽었던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가 술술 읽히는 개론서였다면, 이번에 읽은 ‘사다리 걷어차기’는 결론은 쉽지만 풀어가는 과정이 저에게는 꽤나 험난했습니다. 사실 1/3쯤 읽다가, 도서관 반납 전날에 30분만에 발췌독을 해버렸습니다. ㅠㅠ …

태양광발전 사업성이 얼마나 있을까?

태양광발전

태양광발전 관련해서 좀 알아보거라. 그저께 아버지께 한통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전 당연히 지자체에서 보조금을 지원받아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전기세를 감면 받으려고 하시는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린홈 지원사업에 대해 알려드렸더니, 아버지가 애초에 의도하신건 태양광발전사업이었습니다. 아버지께서 몇해전에 시골에 임야를 매입해서 조그만 집을 짓고 텃밭을 일구며 소일거리를 하시거든요. 그런데 바로 그 뒷 산에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해보겠다고 하시네요. 다시 …

아파트 중도금 대출금리 폭등, 왜 국민이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가?

중도금 대출금리

정부와 언론이 연일 경고하던 가계부채 증가세가 최근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아파트 중도금 대출이 잦아들고 있기 때문인데요. 부동산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도 있겠지만, 11.3 부동산 대책 이후 금융당국의 대출규제가 힘을 발휘하는 모습입니다. 물론 급속도로 불어나던 가계빚이 안정세로 돌아서는 것은 좋은 현상이지만, 가계부채의 질을 개선하는 정부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강화의 결과로 은행권의 대출금리는 왜 이리 가파르게 상승하는지 모르겠네요. 지난해 …

창업지원주택, 주거난과 취업난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을까?

정부는 주거문제와 취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판교에 처음으로 창업지원주택을 선보였습니다. 앞으로 국토교통부는 전국에 1천호 규모를 추가로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요즘 가장 큰 사회적 문제 두 가지를 꼽아보라면 단연 주거문제와 실업문제를 들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질 좋은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실업률이 증가하며 주거비용의 증가하는 악순환이 계속되는데요. 우리나라 경제의 발목을 잡는 주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을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