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택 늘어난 주택연금, 내집연금 3종세트의 모든 것

OECD 노인 빈곤율 1위, 은퇴자의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 35만 원, 노령층의 전체자산 중 부동산이 80%.

노인 빈곤

바로 우리나라의 이야기입니다.

2007년에 한국주택공사에서는 보유한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상품을 처음 선보였습니다. 이는 환금성이 떨어지는 주택을 거의 전 재산으로 가진 노령층의 소득문제를 해결할 좋은 방안이었는데요. 문제는 사람들이 가입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우선 집에 대한 소유욕이 컸고, 후일 자식에게 물려줘야 한다는 이 시대 부모님들의 의무감 때문이었을 겁니다.

2007년 7월 출시 이후 1만 번째 가입자가 나오는 데 5년이 걸렸을 정도로 더뎠는데요, 그 후 2만 번째 가입자는 22개월 만에, 3만 번째 가입자가 나오는 데는 20개월 정도 걸리며 가입자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내집연금 3종세트 간담회
▲ 사진: 금융위원회

주택연금의 가입조건을 완화하고 혜택을 더한 내집연금 3종세트를 오는 4월 25일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기존 주택연금과 달라진 3종 세트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연금이란?

  • 집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또는 일정 기간에 매월 일정액을 연금으로 받는 제도
  • 사망 시점에 집값이 남아 있으면 자식에게 상속가능, 주택가격이 하락해 연금수령액보다 떨어질 땐 부족분을 청구하지 않음
  • 월 지급액은 가입 시점 주택가격상승률, 연금산정 이자율, 기대여명 등을 반영해 매년 재산정

내집연금 3종세트란? – 소득별·계층별로 세분된 주택연금 정책

① 주택담보대출의 전환 상품: 주택연금은 주택담보대출이 있어도 받을 수 있는데요. 일부를 일시 인출해 빚을 갚고 나머지 금액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일시금 인출한도를(연금지급 총 한도) 기존 50%에서 70%로 상향해서 가입의 문턱을 넓혔습니다. 이 경우 매월 대출 이자를 내야 했는데 오히려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거죠.

② 보금자리론 연계 상품: 보금자리론을 이용하는 45세~50대가 나중에 주택연금을 들겠다고 약정하면 기존 대출금리 0.1% 깎아준다는 계획인데요. 다만, 당장 현재 금리를 낮춰준다는 것은 아니고 나중에 주택연금에 가입할 때 우대받은 만큼 금액을 돌려준다고 합니다.

③ 우대형 상품: 60세 이상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최대 20%까지 연금수령액을 추가 지급한다는 계획입니다.

내집연금 3종세트

이 밖에도 주택연금 활성화를 위해 가입 문턱을 많이 낮추는 몇 가지 방안을 내놓았는데요.

기존에는 집값이 9억 원 미만일 경우 가입이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9억 원 이상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인정금액 상한선은 9억 원)

그리고 현재는 주택 소유자가 60세 이상이어야 하므로 가입하려면 60세 이상의 배우자에게 소유권을 넘겨야 했었는데, 앞으로는 부부 중 한 명만 60세를 넘기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지급금액은 부부 중 나이가 어린 쪽으로 책정)

또한, 현행은 주거용 오피스텔로는 가입이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주택연금을 받을 수 있는 담보로 설정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그렇다면 주택연금의 장점과 다른 연금과의 차이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이 부분은 다음 포스팅에 정리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주택연금 수령액과 다른 노후대비 상품과의 차이점
정부가 계획하는 연금자산 관리 방안
분할연금제도의 모든 것
세액공제와 노후대비까지 일석이조, 개인형 퇴직연금(IRP)제도

답글 남기기

  •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스팸방지를 위해 첫 댓글은 승인 절차가 있습니다.
  •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정정할 수 있도록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이나 자유로운 답변은 항상 환영합니다.
  • 단, 개별 사례에 대한 답변은 제가 드리기 어렵습니다. 특히, 세금관련 사항은 국세청의 통합상담서비스인 세미래 콜센터(☎ 126)를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