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실손의료보험 가입자가 무려 3,300만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무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60%가 넘는 숫자인데요. 생각보다 훨씬 많은 분이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하고 계시더라고요. 공적건강보험제도인 국민건강보험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적보험제도인 의료실비보험에 가입자가 생각보다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보험은 이것저것 많이 들어놓으면 그만큼 나중에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러나, 실손의료보험은 중복가입 혜택이 거의 없습니다.
실손의료보험은 내가 실제 내는 의료비를 보장받는 것이기 때문에 의료실비보험을 두 곳에 중복가입하고 병원비로 10만원이 나왔다면 두 보험사에서 사이좋게 5만원씩 나눠서 줍니다.
현재 법으로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보험회사에서 이미 가입한 의료실비보험이 있는지 알려주고, 중복가입 했을 때 나눠서 보험비를 지급한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하고는 있는데요. 보험상품 자체가 워낙 복잡하고 천천히 살펴보지 않으면 중복으로 가입할 수가 있죠. 올해 6월 말 기준 우리나라 실손의료보험 중복가입자 수는 총 14만이라고 하니까요.
실비보험 중복가입의 장점이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보장한도를 넘는 의료비 지출 시에는 두 곳의 보험사에서 보험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원치료비 보장한도가 30만원인 실손보험에 가입했을 때 50만원의 통원치료비가 나왔다면 두 보험사로부터 전액을 보장받을 수 있지만, 한 곳의 보험사였다면 30만원밖에 받지 못했겠죠.
그러나 이런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효과가 없기 때문에 효율성 측면에서 실손의료보험 중복가입의 효과는 미미하겠죠.
실손의료보험 중복가입 확인방법
혹시나 자신도 모르게 실비보험에 중복해서 가입했다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먼저 보험 가입시 받은 보험증권을 찾아서 실손의료비 특약을 확인해볼 수 있고, 한국신용정보원 홈페이지 내 민원상담 >> 신용정보 조회 >> 실손의료보험 조회 에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실비보험에 중복가입 하는 것보다 차라리 다른 보험에 가입하는 게 훨씬 이익일 것 같은데요. 혹시라도 모르고 중복가입 하신 분이 계시다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건강보험료 절약하는 방법! 지역 보험료 조정
보험회사가 망하면 가입자들의 손해는?
저축성보험 추가납입제도를 활용하는 이유, 보험료 추납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