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16개월 만에 최저? 체감물가는 전혀 그렇지 않은데…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겨우 0.4% 상승에 그쳤다고 합니다. 이 상승률은 소비자물가 16개월 만에 최저치라고 하는데요.

소비자 물가 16개월 최저에도 부담스러운 생활물가
소비자 물가 16개월 최저에도 부담스러운 생활물가

이러한 오름세가 둔화한 이유 중 하나가 전기요금 누진제를 한시적으로 인하 조치한 데 따른 결과라고 합니다. 정부에서 담배값을 인상하고, 전기요금을 내리지 않는 이유가 바로 소비자물가 상승을 위해서일까요? 무시무시한 디플레이션의 위험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정부의 깊은 속뜻인가 봅니다.

그렇다면 소비자물가를 견인하기 이전에 국민의 삶의 질과 소득 증대에도 신경을 써야 할 터인데.. 얼마나 잘 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시장

소비자물가는 4개월 연속 0%대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과적으로 소비자물가 16개월 만에 최저치라는 성적표를 받았는데요. 세계적으로 저성장이 추세라고는 하지만 우리나라는 저성장의 늪에 너무 빨리 그리고 깊게 빨려들어 가는 게 아닌지 걱정이네요.

그런데 소비자물가는 16개월 만에 최저의 상승 폭을 기록할 정도인데, 왜 소비자로서 체감하는 물가는 높기만 할까요?

소비자 물가동향
소비자 물가동향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을 살펴보면,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5%, 전년 같은 달 대비 0.6% 각각 하락했다고 하는데요. 생활과 밀접한 장바구니 물가는 많이 올랐더군요. 8월의 신선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2.8% 오르고 국산 쇠고기, 배추, 풋고추, 마늘 등은 상당히 올랐으니까요.

소비자 물가 16개월 최저에도 부담스러운 생활물가
소비자 물가 16개월 최저에도 부담스러운 생활물가

사실 소비자물가 16개월 만에 최저임에도 불구하고 서민들이 밀접하게 느끼는 생활물가는 크게 오른다는 사실이 더욱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이제 추석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추석을 앞두고 서민이 몸소 체감하는 물가는 또 한바탕 널뛰기를 하지 않을까 걱정도 되네요.

답글 남기기

  •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스팸방지를 위해 첫 댓글은 승인 절차가 있습니다.
  •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정정할 수 있도록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이나 자유로운 답변은 항상 환영합니다.
  • 단, 개별 사례에 대한 답변은 제가 드리기 어렵습니다. 특히, 세금관련 사항은 국세청의 통합상담서비스인 세미래 콜센터(☎ 126)를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