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입공매도와 무차입공매도

공매도란 주식이나 채권등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① 하락장이 예상될 때 주식을 빌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매도하고 ② 실제 주가가 내려가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서 다시 산 후에 ③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얻는 방식입니다.

공매도에도 순기능이 있다고는 하나, 개미투자자 사이에서는 악의 축으로 생각될만큼 악명높은 투자기법 중 하나죠.

차입공매도 무차입공매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차입공매도만 허용되어 있고, 무차입 공매도는 불법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

차입공매도란 증거금을 내고 주식을 빌려와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증거금이란 주문을 할 때 고객에게 담보로 받는 보증금의 성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차입공매도란 빌려온 주식 없이 일단 매도부터 먼저하는 방식입니다. 가뜩이나 투기적인 성격이 강한 공매도에 무차입공매도 방식까지 가능해지면 그 폐해가 훨씬 크기 때문에 금지하지 않나 싶습니다.

최근 삼성증권의 유령주식 사건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이 무차입공매도와는 다르다는 주장도 있지만, 없는 주식을 팔았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를 게 있나 싶습니다. 게다가 이번 일로 인해 크게 시장이 교란된 현실을 봤을때 주식시장에 대한 불신이 더욱 깊어질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현재까지 주류로 자리잡은 금융권의 중앙집중적인 데이터 처리방식에서 분산형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된 셈입니다.


답글 남기기

  •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스팸방지를 위해 첫 댓글은 승인 절차가 있습니다.
  •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정정할 수 있도록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이나 자유로운 답변은 항상 환영합니다.
  • 단, 개별 사례에 대한 답변은 제가 드리기 어렵습니다. 특히, 세금관련 사항은 국세청의 통합상담서비스인 세미래 콜센터(☎ 126)를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