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시대에 상을 당하게 되면 상조회사 서비스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느껴집니다. 핵가족 시대에 상을 치룰 가족이 많지도 않고, 복잡한 장례절차를 무리 없이 진행하기가 상조회사 없이는 거의 불가능처럼 생각되는데요. 저도 큰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상조서비스를 간접적으로 체험해봤는데, 차근차근 친절하고 자세하게 절차와 진행에 관해 알려주시더라고요.

그러데 한편으로는 업계 1위 상조회사가 문을 닫는다는 뉴스도 들리고, 상조업체의 폐업이나 등록취소로 피해를 본 회원에 대한 보상률이 31% 밖에 안된다는 뉴스도 심심치않게 볼 수 있습니다.
상조회사 서비스 꼭 가입해야 할까요?
보통 상조회사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매월 일정액의 금액을 납입하면서 상을 당하게 되면 상조서비스를 받게 됩니다.
그런데 상조회사가 망하게 되면 내가 납입한 금액을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을까요? 은행이나 금융회사는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5천만원까지는 보호받을 수 있지만 상조회사는 예금자보호제도가 없습니다. 다만, 법적으로 상조회사가 월간 납입받는 금액의 50%를 예치해두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총 납입금액의 50%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공정거래위원회 사이트에 정보공개 >> 사업자정보공개 >> 선불식할부거래사업자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인이 가입한 상조회사 이름으로 검색하시면 일반현황부터 재무현황, 선수금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 확인해 보실 분들을 위해 링크를 남겨드립니다. ^^
그러나 이 내용은 사업자가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공개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조회사가 마음먹고 내용을 조작한다면 찾기가 쉽지 않아보입니다.
더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수금보전기관 은행에 직접 전화해서 상조회사가 입금한 선수금 명단에 자신의 이름이 들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합니다. 상당히 번거롭고 실제로 이렇게 확인하는 소비자는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상조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을까?
그렇지는 않습니다. 만약 가입하지 않았는데 상을 당했다면 상조회사에 전화해서 즉시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미리 가입해서 매월 선납을 하면 약간의 서비스가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장례를 치르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게다가 상조 서비스에 가입해 분납을 하고 있던 중에 상을 당하면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분납 이외 나머지 미납금을 일시불로 완납해야 한다고 합니다. 차라리 적금을 들다가 상을 당하면 즉시가입을 하는 게 여러모로 더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기존에 가입한 상조서비스를 해약해야 할까?
해약 하면 손해가 만만치 않습니다. 상조회사도 보험회사와 같이 사업비를 빼고 환불을 해 주는데, 30개월 정도를 납입하면 납입금액의 50%정도를 돌려받을 수 있고, 전부 완납하더라도 85% 밖에는 돌려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 시행
공정거래위원회는 상조업체 폐업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자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2018년 4월 9일)
내상조 그대로 제도는 자신이 가입한 업체가 폐업하더라도 기존에 가입했던 상품과 유사한 상조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6개 상조업체(경우라이프, 교원라이프, 라이프온, 좋은라이프, 프리드라이프, 휴먼라이프)의 협조를 통해 기존 업체가 폐업할 경우 일명 갈아탈 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 상조업체가 폐업하면 납입금 중 50%의 보상금만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었는데요.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를 이용하면 돌려받은 50%의 보상금을 내고, 6개 상조업체를 통해 종전에 가입한 상품과 유사한 상조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만약에 상조업체가 소비자의 납입금을 고의로 누락해왔다면 소비자가 돌려받는 피해보상금 50%를 온전히 받아낼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상조업체가 실제로 은행에 예치한 금액을 돌려받기 때문입니다. 즉, 소비자가 자신의 납입금이 은행에 정상적으로 예치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자신의 권리를 지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상조서비스가 분명히 누구나 필요한 서비스임에는 동의하지만, 꼼꼼하게 따져보지 않는다면 의외로 손해를 볼 수 있는 구석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만약 상조 서비스에 꼭 가입해야 할 상황이라면 회사의 재무건전성 등을 꼼꼼히 따져보시고 큰 업체에 가입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보험회사가 망하면 가입자들의 손해는?
내 돈은 안전한가? 베일인, 베일아웃과 예금자보호법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