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비용 부과형과 미부과형의 차이! 환급금 보증형 vs. 미보증형 보험

보험의 종류에는 보증비용 부과형 상품(환급금 보증형)과 보증비용 미부과형(환급금 미보증형) 상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증비용을 부과하는 상품은 종신보험을 해지시 고객에게 약속한 예정이율이 적용된 환급금을 보장해주는 대신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부과형은 그 반대가 되겠죠.

 

일반적으로 생명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종신보험은 보증비용 부과형입니다. 최근에는 해지환급금이 없거나 적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미부과형이 출시되고 있고요.

보증비용 부과형과 미부과형의 보험료 차이는?

아무래도 약속한 예정이율을 적용해서 환금금을 지급하는 부과형이 더 비쌀 수 밖에 없는데요. 보통 같은 종신보험이라도 부과형과 미부과형에 따라 보험료가 20%정도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금액이죠. 20년동안 납입하는 총 보험료의 차이가 약 1천만원까지도 벌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보험료의 차이는 환급금 보증형에 적용되는 이율이 미보증형보다 더 높기 때문인데요. 종신보험의 예정이율이 2.7~2.8% 수준이라면 환급금 미보증형 보험에 가입하면 최소 1.0%의 이율만 반영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환급금 보증형 미보증형

종신보험이라는게 가입기간이 무척 길고, 대부분 사망보장을 위해 가입하는만큼 저축 성격이 강한 환급금 보증형이 더 나은지 아니면 저렴한 보험료의 환급금 미보증형 상품이 나은지는 개인이 판단해야 할 몫인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미보증형을 선택하는 고객은 전체 계약의 1/5도 안된다고 하네요. 납입 보험료가 부담스럽다면 보증비용 미부과형을 고려하는 것도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

  •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스팸방지를 위해 첫 댓글은 승인 절차가 있습니다.
  •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정정할 수 있도록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이나 자유로운 답변은 항상 환영합니다.
  • 단, 개별 사례에 대한 답변은 제가 드리기 어렵습니다. 특히, 세금관련 사항은 국세청의 통합상담서비스인 세미래 콜센터(☎ 126)를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