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환급 (2017년 최신)

건강보험공단에서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환급을 실시합니다. 2016년도 의료비부담 비용중 본인부담상한제에 따라 개인별 의료비 본인부담 상한액을 초과한 금액을 건강보험공단에서 8월 11일부터 되돌려준다고 하는데요. 대상이 58만명, 금액은 7351억원이나 됩니다.

의료비 본인부담상한제란?

예기치 못한 질병 등으로 발생한 막대한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년간 건강보험본인부담금(비급여, 전액본인부담, 선별급여, 임플란트 제외)이 개인의 소득에 따라 설정한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금액은 건보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휠체어

연도별 본인부담상한액

소득분위1분위2~3분위4~5분위6~7분위8분위9분위10분위
2004년 7월
6개월간 300만원(제도시행)
2007년 7월
6개월간 200만원
2009년 1월
연간 200만원(하위 50%)
300만원(중위 30%)
400만원(상위 20%)
2014년 1월120만원150만원200만원250만원300만원400만원500만원
2015년 1월121만원151만원202만원253만원303만원405만원506만원
2016년 1월121만원152만원203만원254만원305만원407만원509만원
2017년 1월122만원153만원205만원256만원308만원411만원514만원

상한액 초과금액 지급 방법

사전급여

동일한 요양기관에서 연간 입원 본인부담액이 최고상한액(’16년 기준 509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되는 금액은 요양기관이 환자에게 받지 않고 건강보험공단에 직접 청구합니다.(당해연도에 지급)

사후환급

개인별 상한액기준보험료 결정(건강보험료 정산) 전·후로 나누어 개인별 본인부담상한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건강보험공단에서 환자에게 직접 지급합니다.

  • 상한액기준보험료 결정 이전: 개인별로 연간 누적 본인부담금이 최고상한액(‘16년 기준 509만원)을 초과할 경우 매월 초과금액을 계산하여 지급
  • 상한액기준보험료 결정 이후: 개인별 연간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을 소득기준별로 정산하여 초과 금액 지급

2016년 기준 본인부담 최고 상한액인 509만원을 넘는 16만8,000명, 4,407억원에 대해서는 이미 사전급여로 지급했고, 건강보험료 정산을 완료하고 계산한 결과 개인별 본인부담상한액을 넘는 58만2,000명, 7,351억원에 대해서 2017년 8월 9일부터 되돌려준다고 합니다.

이중 사전급여와 사후환급을 중복적용 받는 대상자는 13만5천명이라고 하는데요. 즉, 사전급여를 이미 받았어도 이번 사후급여에 추가로 혜택을 볼 수 있는 사람이 13만5천명이라는 것이죠.

환급 신청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환급 대상자에 11일부터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신청서를 포함한 안내문을 발송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안내문을 받았다면 우편이나 인터넷, 전화 등을 통해 공단에 본인명의 계좌로 입금 신청을 하면 됩니다. 문의사항이 있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전화(1577-1000)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본인부담상한액 기준보험료
2016년 본인부담상한액 기준보험료

저소득 취약계층은 아무래도 의료비 부담도 클 수밖에 없는데요.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로 의료비 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에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잘 챙겨서 혜택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본인부담상한제와 포괄간호서비스제도로 건강보험 제대로 활용하기 #2

답글 남기기

  •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스팸방지를 위해 첫 댓글은 승인 절차가 있습니다.
  •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정정할 수 있도록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이나 자유로운 답변은 항상 환영합니다.
  • 단, 개별 사례에 대한 답변은 제가 드리기 어렵습니다. 특히, 세금관련 사항은 국세청의 통합상담서비스인 세미래 콜센터(☎ 126)를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