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의 건강보험료가 15년간 무려 3.7배나 늘었다고 합니다. 원인은 건강보험을 산정하는 건강보험요율이 2배가량 인상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보험요율이란?
보험가입금액에 대한 보험료의 비율을 보험요율이라고 한다. 요율은 생명보험료 및 자동차보험료와 같이 정액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고, 화재보험 및 해상보험과 같이 백분율로 표시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2001년 약 5조2천억원이었던 직장인 건강보험료 징수액이 2015년에는 약39조로 7.4배 증가했고, 1인당 평균 보험료로 계산하면 66만원에서 247만원으로 3.7배가 늘어난 수치가 나옵니다. 유리지갑 월급쟁이로서는 부담되지 않을 수 없는 인상액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크게 건강보험료가 인상된 이유는 건강보험요율이 2001년 당시 3.4%에서 2015년 6.47%로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지역가입자는 1인당 평균보험료 인상액이 2.5배 정도로 그나마 덜 가파른 인상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건강보험요율이 쉽게 오를 수 있었던 배경에는 보건복지부가 법률의 개정이 아닌 건강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건강보험요율을 매년 인상해온 게 원인으로 보입니다. 알아서 잘 걷어갈 것이라고 생각한 건강보험료. 한번쯤은 꼼꼼하게 들여다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